2018/09/11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롤)에 대한 이해가 있을 때 원활히 읽을 수 있는 글입니다만, 롤을 모르는 분들도 전반적인 맥락을 이해하며 읽을 수 있도록 최대한 쉬운 용어로 쓴 글입니다.
MVP는 누구인가? 경기에서 화려한 플레이를 한 선수는 모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지만 그 선수가 MVP는 아닐 수 있다. 감독의 마음에 꼭 드는 선수가 실제 실력은 별로일 수 있다. 성격이 괴팍하여 모두에게 미움을 받는 선수의 실력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 어느 누구도 이런 주관의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좀 더 객관적으로 이런 결정을 할 수는 없을까? 데이터 관점으로 접근한다면 어디서 시작하는 게 좋을까?
스스로 프로팀 구단주라고 상상해보자. 어떤 고민을 할까?
구단을 운영하려면 이런 질문을 안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이런 질문에 답하려 할 때 참고할 객관적 데이터가 별로 없다. 팀의 승률만 갖고는 어떤 선수가 얼마나 잘하는지 알 수 없고, 선수별 KDA(Kill Death Assist)[1]는 선수의 실력을 대표하기에는 지나치게 단순하다.
새로운 지표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 지표는 최소한 위 세 가지 질문에 답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난 이런 맥락에서 경기 과정을 평가하는 지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선수의 실제 실력을 평가하자는 얘기다. 그렇다면 실력이란 무엇인가? 승리에 공헌한 정도이다. 이를 앞으로 승리 공헌도라 부르겠다. 다음 그림을 보자.
팀의 리그 경기마다 역할별[2] 승리 공헌도를 뽑는다면 위 그림과 같은 그래프를 만들 수 있다. 위 그래프를 이용해 아래와 같은 해석을 할 수 있다.